■ 진행 : 윤재희 앵커
■ 화상연결 :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폭우로 인해 전국적으로 18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오늘부터 가마솥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이 재개됐습니다.전문가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화상으로 연결합니다. 교수님 나와계시죠.
[백승주]
나와 있습니다.
먼저 피해가 컸던 경기 북부에서 사망자가 추가로 나왔습니다.
가평과 포천에서만 3명이 숨지고 4명이 실종됐는데하천 범람과 산사태로 인해 실종자가 발생하면서 날씨나 현장 상황을 봤을 때는수색에 큰 무리는 없을지 궁금하거든요. 어떻게 보십니까?
[백승주]
수색이 현 시점이 난항으로 보여집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접근해야 하는 도로가 화면상으로도 많이 유실되어 있고요. 그리고 같이 중요한 통신입니다. 통신 두절 상태가 유선, 무선이 같이 두절상태가 돼 있고요. 그렇게 되면 통신이 안 된 상태에서 도로가 안 되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연락이 되었던 상태가 최종 안전이 확인되기 때문에 그 이후는 잠재적 실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구조 상황이 난항을 겪고 집중하기가 어려운 그런 상황이고요. 거기다가 국민 한 분, 한 분의 소중한 생명의 어찌 무게가 가볍겠습니까? 지금 현재로서는 공식 집계다 보니까 실종자분들을 빨리 안전하게 수색해서 안타까운 사망이 아닌 생존자로 뵙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지금 화면으로 보시는 것처럼 도로도 여기저기 끊겨 있고요. 흙더미라든지 부서진 자재들도 현장에 많이 쌓여 있는 상황인데 이런 상황에서는 소방당국이 어떤 방식으로 실종자 수색을 벌일까요?
[백승주]
실종자 수색은 첫 번째가 말씀드린 대로 생존 확률이 높은 상태의 수색을 원칙으로 합니다마는 어려운 부분이 있기는 합니다. 실종자가 최종으로 생존된 것이 확인되고 실종이 시작된 지점에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하천 같은 경우는 지금 같은 급류는 최소 초속 3m 이상으로 흐르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실종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1시간만 지나더라도 10km 지점까지 흐르게 됩니다. 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721082117801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